▶ 카카오엔터가 대대적 조직개편을 하고. 스토리부문 수장에 박정서 부문장을 선임했다
카카오 재팬 픽코마, 2020년 7월 일본 非게임부문 월간 매출 1위, 글로벌 12위 기록
카카오재팬은 글로벌 앱 조사업체 앱애니(App Annie)의 리포트 결과 픽코마가 지난 7월 월간 기준으로 일본 양대 앱마켓(애플 앱스토어+구글플레이)에서 비게임 부문 모든 앱 중 통합 매출 1위에 올라섰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기준(양대 앱마켓 통합 매출, 게임 제외) 전세계 순위로는 12위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2016년 4월 서비스를 출시해 일본 만화 플랫폼 후발주자인 픽코마가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ec%b9%b4%ec%b9%b4%ec%98%a4]%20%ec%9d%bc%eb%b3%b8%20%ec%95%b1%20%eb%a7%a4%ec%b6%9c%eb%9e%ad%ed%82%b9_2020%eb%85%84%207%ec%9b%94.png](https://swastg.blob.core.windows.net/content/wi_user_132415029122628989_2ec408c4-73db-4b6c-aab1-3046ff96a0d4.png)
출시 이후 매년 2배 이상 매출이 증가해 온 픽코마는 올 2분기 거래액이 전년 대비 2.5배 늘어났고, 전분기 대비 61% 증가하는 등 급성장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안전한 즐길거리'를 찾는 일본인들의 니즈를 적극 공략한 덕분이라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19년 4분기부터 지금까지 세 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하는 등 수익성도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 사상 처음으로 디지털만화 시장이 종이만화 시장을 역전한 일본의 전체 만화시장 규모는 대략 5조 7천억원 정도로 추산되며, 앱(모바일) 만화시장은 약 8천억원 규모로 추산됩니다. 디지털만화 시장 전체 추산 규모인 2조 1천 5백억원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지만,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함에 따라 픽코마의 성장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픽코마가 일본 만화 팬들을 매료시킨 원동력 중 하나는 한국형 비즈니스인 ‘웹툰’입니다. 웹툰은 모바일에 최적화돼 스낵 컬처 콘텐츠를 선호하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픽코마는 카카오 공동체의 카카오페이지로부터 양질의 K-story IP(지식 재산권)를 공급 받고 있다. 7월 기준 픽코마의 3만 여개 작품 중 웹툰의 작품 수는 1.3% 비중이지만 전체 거래액 기준으로는 35~40%를 차지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최근 인기 작품 추세를 보면, 매출 TOP 10에 한국 작품 5~6개, 일본 작품 3~4개, 중국 작품 1개로 글로벌적 포트폴리오가 자리잡으며 향후 성장에 대한 기대치를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새로운 글로벌 작품들이 동시에 두각을 나타내며 픽코마 이용자들이 다양한 양질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고 있는 것이라고 카카오재팬은 알렸습니다.
카카오재팬 김재용 대표는 “픽코마의 사상 첫 앱마켓 매출 1위는 매우 의미 있는 기록” 이라며 “일본 만화시장 전체를 고려하면 이제부터가 본격적인 성장의 시작이라 본다. 카카오페이지와 함께 웹툰의 경쟁력을 더욱 키워나가 글로벌 만화시장 성장을 계속해서 견인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