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오픈AI 협업, 웹툰과 시너지 가능성은?


카카오가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시작했습니다. 오픈AI가 국내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건 카카오가 처음입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좌)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카카오와 오픈AI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힌 건데요.

양사는 AI서비스를 많은 이용자가 쉽게 사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AI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기술협력, 공동상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신아 대표는 키노트에서 “오랜 기간 국민 다수의 일상을 함께하며 축적해 온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선보이는 것이 지금 시대 카카오의 역할일 것”이라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오픈AI와 협력해 혁신적 고객경험을 제공, AI 서비스의 대중화를 이끌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AI 서비스 대중화’를 위해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그 결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 우선 카카오톡과 카나나 등 카카오 주요 서비스에 오픈AI의 최신 AI 기술 API를 활용하기로 했다. 동시에 사내에 '챗GPT 엔터프라이즈'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런 협력이 웹툰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다만, 카카오웹툰을 중심으로 자체 인공지능 헬릭스(HELIX)를 통한 계획을 밝혔던 만큼 적잖은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카카오엔터의 헬릭스는 카카오엔터 자체 개발 AI 시스템으로, 개인화 기반 IP 자동 편성기술입니다.

이를테면 평소 내가 카카오톡으로 나누는 이야기, 카카오톡 선물하기나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취향을 기반으로 웹툰을 추천하거나 하는 등 큐레이션 부문에서 헬릭스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가능할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카카오엔터에서 채팅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겠네요. 지금까지 나온 서비스가 아니라 전혀 새로운 형태의 추천, 놀이 등의 서비스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다만 카카오엔터는 카카오의 계열사이기 때문에 이번 전략적 제휴가 모기업인 카카오의 메신저와 광고 등 서비스에 제한되는 건지, 아니면 다른 계열사에게도 연계될 수 있는 것인지에 따라 시너지 효과는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제휴를 통해 오픈AI와의 협업이 또다른 협업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지켜보는 것도 관전포인트가 되겠습니다.

추천 기사
인기 기사